
이번 장은 な형용사(나형용사)를 높임말(존댓말)로 표현하는 정중체를 공부합니다. な형용사의 정중체도 명사와 똑같이 활용되기 때문에 크게 어렵지 않습니다.
정중체의 문형은 현재와 과거 시제로 나누어서 각각의 긍정문과 부정문을 살펴보겠습니다.
현재
1 긍정
'~합니다, ~해요'라고 할 때는 な형용사의 기본형에서 어미 'だ' 대신 'です'를 붙입니다.
예문
아래의 な형용사는 한국어에서는 동사로 취급하지만 일본어에서는 형용사이기 때문에 조사로 'を(을/를)'이 아닌 'が(이/가)'를 사용합니다.
앞에 조사 が가 붙는 나형용사들
◾ 좋아하다: 好きだ
◾ 싫어하다: 嫌いだ
◾ 잘하다: 上手だ
◾ 잘 못하다: 下手だ
2 긍정 의문
'~합니까?, ~해요?'로 물어보는 표현은 긍정문 뒤에 'か'를 붙입니다.
예문
3 부정
아주 정중하게 '~하지 않습니다'라고 할 때는 기본형의 어미 'だ' 대신 'では + ありません(ない의 공손한 말씨)'을 붙입니다.
예문
조금 더 친근하게 '~하지 않아요'라고 할 때는 'では' 대신 줄임말 'じゃ'를 사용합니다. 앞서 공부한 'では'는 글에서 사용하는 딱딱한 문어체 표현이고, 회화에서는 구어체인 'じゃ'를 사용합니다.
예문
4 부정 의문
아주 정중하게 '~하지 않습니다'라고 할 때는 기본형의 어미 'だ' 대신 'では + ありません(ない의 공손한 말씨)'을 붙입니다.
예문
좀 더 친근하게 '~하지 않아요?'라고 물을 때는 'では' 대신 'じゃ'를 사용합니다.
예문
과거
1 긍정
'~했습니다, ~했어요'라고 할 때는 어미에 'だ' 대신 'でした(です의 과거형)'를 붙입니다.
예문
2 긍정 의문
'~했습니까?, ~했어요?'라고 묻는 표현은 긍정문 뒤에 'か'를 붙입니다.
예문
3 부정
'~하지 않았습니다'라고 할 때는 기본형의 어미에 'だ' 대신 'では + ありませんでした(ありません의 과거형)'를 붙입니다.
예문
좀 더 친근하게 '~하지 않았어요'라고 할 때는 'では' 대신 'じゃ'를 사용합니다.
예문
4 부정 의문
'~하지 않았습니까?'라고 물어보는 표현은 부정문 '~ではありませんでした' 뒤에 'か'를 붙입니다.
예문
친근하게 '~하지 않았어요?'라고 묻는 표현은 'では' 대신 'じゃ'를 사용합니다.
예문
0 댓글